건강

CT와 MRI 차이점

info2099 2025. 2. 4. 12:59
반응형

 

구분 CT
(Computer Tomography)
컴퓨터 단층 촬영
MRI
(Magnetic Resonance Imaging)
자기 공명 영상
원리 o X-선을 이용해 인체의 단면을 촬영 o 자기장과 고주파를 이용
o 인체의 수소 원자핵을 공명시켜 신호를 측정
용도 뼈 골절, 폐/암/심장 질환 등 진단 뇌, 척수, 근육, 관절 등 연조직을 상세하게 보기 위해
방사선 O (있음) X (없음)
주의 자주 찍으면 방사능 피폭이 될 수 있음 검사 시간이 길어서, 폐쇄공포증이 있는 환자는 주의 요함
조영제 부작용이 있을 수 있음 CT 보다는 부작용 적음
검사 시간 몇 분 30분~1시간
비용 저렴
(5만원~30만원)
고가
(30만원~100만원)

 

 

MRI 건강보험 적용

건강보험은 뇌졸중의 검사와 치료에 보험급여 적용을 꾸준히 확대해왔다. 우선 신경학적 이상 증상이나 신경학적 검사 등에서 이상 소견이 있어 뇌졸중, 뇌종양 등 뇌질환이 의심되는 경우 뇌·뇌혈관 자기공명영상(MRI) 검사의 본인부담률을 병원별로 30~60%로 적용하고 있다. 이는 지난 2018년 10월부터 확대 적용된 혜택으로, 이전까지는 중증 뇌질환으로 진단받은 경우를 제외하고 건강보험이 적용되지 않아 환자가 검사비를 전액 부담했다. 그러나 MRI 검사 건강보험 적용 확대를 통해 환자의 의료비 부담은 1/4 수준으로 크게 낮아졌다.

출처 : 국민건강보험

 

https://www.nhis.or.kr/static/alim/paper/oldpaper/202211/sub/06.html

 

평생건강 지킴이 건강보험 웹진

202211 vol.289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www.nhis.or.kr

 

반응형